Day14 - 캔들과 이평선
산업이 발전하며 증권시장이 시작되고 많은 회사들이 발전하며 많은 상품들이 생겨났다.
그리고 세력들이 등장하게 되는데, 세력들이라고 하면 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이야기도 한다.
주식이 왜 시작되었는가? 회사의 발전과 회사의 이익을 위해서다.
주식 가격이 오르고 내린다? 결국 회사의 가치를 사고 판다는 것으로, 주말, 공휴일을 제외하고 거래가 진행이 되는데 가치가 매일 변할 수 있을까?
여러분 회사의 가치가 매일 변하는게 가능한가? 결국 힘의 균형이라고 보시면 된다.
주식과 선물 투자 시 차트에서 생성되는 캔들과 이평선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매매에 활용하면 좋은지 알아보도록 한다.
1. 캔들에 대한 이해
캔들은 두 가지가 있다. 양봉과 음봉.
음봉이 좋은 것일까? 양봉이 좋은 것일까?
주식투자에서 대부분의 차트를 보며 기술적 분석하는 사람은 양봉이 좋다고 말하는데, 이렇게 이야기하는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주가가 변하는 것은 회사 시총이 변하는 것이지 그것을 색으로 표시해서 좋다 나쁘다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국내 주식시장은 오전 9시에 시작해서 오후 3시 30분에 끝난다. 오전 9시에 시가가 정해지고 오후 3시 30분에 종가가 정해진다.
양봉과 음봉이 의미하는 것은 딱 한 가지만 보면 된다.
지금보다 비싸도 매수할 것이냐? or 지금보다 비싸면 매수 안 할 것이냐?
2. 양봉/음봉이 만들어지는 과정
양봉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아보자.
국내 주식시장은 장 시작 후 9시 5분까지는 거래량이 많고 변동성이 강하다.
보통 9시 30분 정도에 거래량이 줄고 약세를 보이는데, 이유는 9시 장초반에 강세를 보이니 매도하거나 익절할 사람은 9시30분에 매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9시30분 정도부터 약 1~2시간 정도 오르고 내리 고를 반복한다. 그리고 중국증시가 열리기 시작하면서 강세가 조금 나온다. 중국은 우리나라와 시차가 1시간이 나기 때문에 중국 시장이 우리나라 증시에 미치는 시간은 오전 10:30~12:30 / 오후 14:00~16:00이다.
만약 오전장에 11시 이전에 상한가를 간다! 그러면 강력한 장대양봉으로 홀딩을 해야 한다.
주가는 거래가 되면서 계속 움직이는데, 캔들에도 꼬리가 생긴다.
썬코어의 경우에는 꼬리가 계속 생긴다? 주가가 상승하는 모양에는 꼬리가 생긴다? 이런 의미는 다시 풀이하자면 매도 vs 매수 간에 활발하게 진행이 된다는 뜻이다.
즉 매도세와 매수세가 활발하게 일어난다는 것은 추세를 잡겠다는 뜻이다. 상승 vs 하락.. 윗꼬리, 아랫꼬리가 달리는 캔들이 횡보하게 되면 상승 또는 하락세가 된다.
보통 아랫꼬리가 많이 달리는 캔들이 나오는 차트는 상승으로 간다. 이렇게 양봉은 망치형, 교수형, 십자형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전부 이름을 보기 좋게 모양을 보고 만든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흐름입니다. 캔들이 만들어지는 과정! 이 과정은 분차트에서 확인한다. 전부 만들어진 캔들을 갖고 양봉, 음봉, 적병삼 이런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3. 양봉, 음봉이 모여 차트로 표현하기
음봉 -> 양봉 -> 양봉 -> 음봉 -> 양봉
자 이렇게 캔들이 5개가 모였다. 양봉이 생기는지 음봉이 생기는지가 중요한가? 양봉으로 끝나는 것이 중요한가?
결국 음봉, 양봉이 중요한 것이 아닌 시총이 변동이 되고 주가가 변동되는 것이 핵심이다.
주식 투자를 할 때 남들이 양봉, 음봉 이런 말도 안 되는 지도 놀이할 때 우리는 재무제표에 따른 분석을 해야 하며 그에 따른 흐름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주식은 점, 선, 면이 있다.
점은 지금 당장의 가격, 그리고 그 가격이 선을 그리고 움직이며 면을 만들면서 캔들을 만든다.
그 캔들이 5, 10, 20, 60, 120일의 이평선을 만들며 평균값을 차트에 표현한다.
평균값이라는 것은 결국 내가 매수 vs 매도가 수천, 수만 번 거래가 체결되면서 만들어낸 이평선이다.
이 이평선의 이격도는 거래량으로 갭 차이가 벌어진다.
Why? 평소에 10주를 매매해서 움직이는 갭 차이와 갑자기 100주가 매매되면서 움직이는 갭 차이가 몇 배 크기 때문에 상승 or 하락으로 간다면 이격도는 벌어지게 되어 있다. 이것이 차트인 것이다.
4. 국내 주식투자 시 이평선 참고하여 매매하기
회사는 몇 분기의 실적을 공표하는가? 4분기다.
1분기에 해당하는 이평선 어떤 것일까?
회사에서 실적 발표하는 것이 4/4분기까지 발표를 하는데, 2021년 4/4분기 실적 발표 언제 했나? 기업들 실적 발표는 분기가 끝난 시점으로부터 약 1개월 정도 소유된다.
따라서 국내 주식을 투자할 때 다음과 같이 이평선이 의미를 생각해볼 수 있다.
5일선 (1주일) = 단기 이평선
10일선 (2주일) = 단기 이평선
20일선 (1개월) = 단기 이평선
60일선 (3개월) = 중기 이평선 (실적 반영되고 1년 중 1/4가 반영된 심리적 이평선)
120일선 (6개월) = 중, 장기 이평선 (하반기, 상반기 결산)
240일선 (1년) = 장기 이평선 (1년 간의 모든 호재 악재가 반영)
국내 주식투자 시 가장 중요한 재무제표를 완전히 이해 후 캔들, 이평선을 완전히 이해하면 성공 투자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해외선물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6월 20일 국내선물 매매일지 (0) | 2022.06.20 |
---|---|
가치투자를 위한 투자법 재무제표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06.17 |
2022년 6월 14일 국내선물 매매일지 (0) | 2022.06.14 |
선물투자 보조지표 활용 : 볼린저밴드 (0) | 2022.06.14 |
국내주식 배당이라도 받자 - 배당금 높은 순위 (0) | 2022.06.13 |